본문 바로가기

Marketing12

소비자의 머릿속에 인지시키는 포지셔닝 전략 기업 전략으로는 자신이 좋아하고, 적절한 경쟁 우위를 선택합니다. 선택한 위치를 기준으로 소비자에게 지각 도를 이용하여 분석한 제품의 정보를 전달합니다. 제품이나 상표의 위치를 여러 가지 평가 차원에 따라서 나타내는 포지셔닝 맵이 지각도입니다. 포지셔닝 전략을 기반으로 기업은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의 기억 속 에 위치시키려고 노력하는데, 여기서 사용하는 실천적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고객의 기억 속에 최초나 최고가 되는 전략입니다. 소비자는 대부분 최초나 최고로 인식된 것이 가장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고, 이는 시장이 아니 라 고객의 기억 속에서 최초가 되는 것입니다. 예로서, 음식점 앞에 '원조'라는 수식 어를 붙이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둘째, 현재의 위치를 강조하거나 상위.. 2021. 2. 20.
연속적 혁신(Continuous Innovation)이 리바이스에게 미치는 영향 신제품의 혁신이 소비자에게 수용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커뮤니 케이션을 통하여 표적시장의 구성원 사이에 혁신이 파급되어야 합니다. 혁신은 제공되는 편익의 유형에 따라서 기능적 혁신, 쾌락적 혁신, 상징적 혁신으로 분류합니다.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혁신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속적 혁신(Continuous Innovation)은 기존 제품을 약간 개선시킨 것으로 치석 제거용 치약, 자동차의 새 모델 등입니다. 동적인 연속적 혁신 동적인 연속적 혁신(Dynamically Continuous Innovation)은 기존 제품보다 기술 진보가 이루어진 신제품이나 기존의 소비자의 행동 유형의 변화가 적은 경우에 일어나는 혁신으로, 전륜 구동형, 컬러 TV 등입니다. 완전한 혁신(Discontinu.. 2021. 2. 10.
부조화 적응 수준(GIAL: the General Incongruity Adaptation Level) 동기 유발과 소비자 갈등 소비자가 받아들이는 자극 수준은 환경에 대하여 축적된 기존의 지식과 환경으로부터 실제로 받아들이는 정보 사이에 존재하는 부조화나 불일치의 정도에 의해 결 정 됩니다. 이 수준을 부조화 적응 수준(GIAL; the General Incongruity Adaptation Level)이라고 합니다. 소비자의 불안정함 소비자는 자극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동기를 유발하는데, 최저 자극 수준보다 높거나 낮은 자극이 제공되면 소비자는 불안정함을 느낍니다. 따라서 소비자는 최저 자극 수준으로 복귀하려는 행동을 유발하게 됩니다. 자극과 동기 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역 1은 소비자의 자극 수준이 매우 낮아서 싫증을 느끼는 영역으로, 소비자가 능동적 탐색 활동을 통해 오랜 기간 반복 구매로 이.. 2021. 2. 9.
다차원 척도법을 소비자에게 적용하는 방법 예시 다차원 척도 법(Multi-Dimensional Scaling)은 소비자가 기억하지 못하는 속성을 질문하기보다는 유사성이 높은 순서대로 소비자가 판단하도록 하는 기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양한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설문에 기초하기 때문에 문항 수가 많아질 수 록 측정 오차가 많은 합리적 행위 모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입니다. 다차원 척도법 다차원 척도법은 이원 비교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제품이나 브랜드를 짝을 지어 대적 위치를 표시하도록 하는데,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속성에 대한 판단보다는 제품이나 브랜드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커피 브랜드를 이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가 서로 가까운 데 위치할 수 록 유사한 속성을 가진다고 가정하고, 이들에 대하여 소비자가 느.. 2021.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