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에서 따라하는 스티브 잡스의 마케팅 전략
대만에서의 스티브 잡스를 닮은 사람이 나오는 차리 왕(츄꽃포)이라는 대중적인 녹차 광고가 대표적입니다. 광고에 등장하는 배우 브룩스 홀은 스티브 잡스의 말투와 제스처를 비슷하게 연출합니다.
초기 브랜드 이미지 향상
이벤트 상품으로는 애플의 아이패드를 주어, 마치 애플 브랜드와 유사한 상황 연출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초기의 브랜드 이미지 상승을 위한 것으로 애플의 브랜드 이미지로 형성된 소비자 시장에 자연스럽게 어필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즉, 음료라는 저관여 제품을 고관여 제품인 애플의 이미지와 연결하 여 포지셔닝을 한 사례입니다.
양면적 소비는 두 가지의 극단적인 소비 행태가 동시에 나타나는 소비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소득의 양극화로 인해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질적 풍요를 추구하는 가치 과히 확산되면서 다양하고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이 등장하고, 그에 따른 우수한 제 푸과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양면적 소비는 세 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 입니다.

첫째, 기술적 요인으로 디지털화를 통한 소비자의 정보 접근 능력의 숙련도와 정보력을 바탕으로 보다 합리적 사고를 하는 요인입니다.
둘째, 사회. 심리적 요인으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수용성이 증가하는 요인입니다. 마지막으로, 인 구통계적 요인으로 저출산 고령화로 자녀 중심 소비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른 문화생활의 질적 추구 등이 원인이 되는 요인입니다.
감성 중심 소비는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으로 제품을 평가하기보다는 디자인, 색채, 스타일, 이미지와 같은 감성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제품을 평가하고 구매하는 소비입니다.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느낌이나 정서가 소비 행동을 결정짓는 현상으로, 이를 활용한 마케팅 방법은 크게 네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감성 마케팅은 소비자의 기분과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적인 자극을 통 해 제품 서비스와 브랜드 간의 유대 관계를 강화시키고, 소비 경험을 즐겁게 해 줌으로써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입니다.
감각 마케팅은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 인간의 오감을 자극하여 마케팅 효과를 높이려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코카콜라의 빨간색, 펩시콜라의 병 따는 소리, 백화점 시식 코너, 향기 마케팅, 뮤직 마케팅 등이 대표적입니다.
문화 마케팅은 드라마, 영화, 공연, 게임 등의 문화 콘텐츠를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와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브랜드에 대한 우호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려는 마케팅 방법입니다. 감동 마케팅은 독특한 경험, 재미, 감동을 주어 자사 브랜드에 대한 우호 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브랜드를 차별화하려는 마케팅 활동입니다.
상황적 영향 기반의 마케팅 전략으로는 크게 시장 세분화와 제품 포지셔닝 전략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 우에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상황을 세분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포지셔닝을 위한 광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애플의 마케팅 전략

애플은 스마트폰의 선도 브랜드로서 주력 모델인 아이폰의 판매 상승세가 떨어지자 틈새시장으로 보급형 스마트폰인 아이폰 SE를 출시하였습니다.
이는 아이폰 보급형인 아이폰 C에 이어 두 번째이고, 애플은 자사의 새 보급형 스마트폰의 특 장점으로 가성비, 즉 가격 대비 성능의 우수성을 부각하여 광고 메시지로 전달하였습니다.
실제로 아이폰 SE 2는 애플리케이션 칩과 모션 코프로세서를 적용하여 성능은 아이폰 6s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판매 가격은 16GB 제품이 399달러(약 46만 원), 64GB는 499달러(약 58만 원)로 30만 원 이상 더 저렴합니다. 스마트폰의 선도 브랜드인 애플이 후발 주자들의 저가 전략을 방어하기 위한 전략인 것입니다.
애플의 선도브랜드 전략
선도 브랜드의 유지 및 방어 전략으로는 막대한 광고비 및 판매 촉진 비용 지출을 통하여 제품의 시 장 지배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방법과 저가격 전략을 기반으로 하여 적극적인 제품 개발과 신제품 출시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저관여 제품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한 차별화 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수이고, 기존 브랜드가 적극적이고 막대한 광고비로 시장을 확보하고 있을 경우에는 후발 브 랜드의 시장 진입은 어렵습니다.
저관여 제품은 유통망이 중요한데, 소비자 수용 영역이 넓고 대체품이 시 장에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언제라도 브랜드 전환이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폭넓은 유통망 확보로 유망 지역, 점포, 진열대 위치 등을 확보하려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선도 브랜드는 가격 할인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후발 브랜드가 그 시장에서 살아남기가 어렵다는 인 식을 심어 줄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지나친 저가 정책은 오히려 자사 브랜드 이미지를 낮추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제품의 중요성을 부각하는 후발 브랜드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품질 개선들 위해 노력하고, 틈새시장을 내주지 않기 위한 시장 세분화 전략 및 신제품 개발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