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G의 G5 프로젝트에서 발현한 PAD(Pennies-A-Day)전략

by 간다간다 돈간다 2021. 2. 28.

자신이 소유한 휴대폰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중고품을 거래할 경우에 시세보다| 높게 책정한다. LG의 'G5'와 구글의 '아라 프로젝트'는 스마스폰의 새로운 평가 기준을 제시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G5는 향후에 스마트폰이 어떠한 기술로 발전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 제품이다.

 

LG의 G5 모듈 스마트폰 광고 그리고 같은 'G5는 '아라 폰'처럼 모듈 폰 분야에서 확실한 인지를 위해서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나타난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기본 보디인 'G5' 선택의 문턱을 낮추었고, 가격과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한다는 점을 소비자에게 어필하여 모듈 폰에서 선두 자리를 주도하고 있다.

 

소비자에게 스마 트폰의 기존 기능에 저장 공간의 활용과 게임이라는 다른 사용 용도를 빅데이터 분석으로 새롭게 제 시하여 소비자의 선택을 유도한 사례이다.

 

후회 이론 소비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의사 결정 대안들 사이의 결과 차가 큰 경우, 소비자는 특정한 대안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에 예상할 수 있는 후회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 치를 부여하여 의사 결정을 한다는 이론이다.

 

기업에서 제품의 가격 정보를 제시할 때 전체 지불할 금액을 장기간에 걸쳐서 여러번 적은 금액으로 분리하여 제시하는 PAD(Pennies-A-Day) 전략이 있다.

PAD(Pennies-A-Day) 전략

 

이 전략에 따르면 소비자는 새로운 준거점을 기준으로 같은 금액이라도 분리하여 시 불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손실로 지각하게 되어 푼돈이라고 판단한다.

 

소비자의 휴리스틱을 기반으로 한 마케팅 전략으로 TV 홈쇼핑이나 고가의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에 이 방법을 자주 활용한다.

 

정보탐색과 대안 평가 소비자는 정보를 탐색하면서 대안을 평가 하기도하고 대안을 평가하다가 추가적으로 첫보를탐색하기도 한다.

 

소비자는 대안을 선택하는 데어 떤 한 가지 선택만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여러 가지의 선택을 한다.

 

속성의 수가 많아지는데, 소비자는 정보처리능력의 한계 때문에 처음 에는 비교적 간단한 비보상적 방식을 통해 대안을 걸러낸다.

 

다음으로 2~3개의 대안에 대하여 비교적 정교한 평가과정을 거치는 보상적 방식을 통해 대안을 선택한다.

 

인기 드라마〈미생>을보면탕비실에서 선후배가 동서식품의 '맥심'커피를 마시면 서대화를 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이러한 드라마 간접광고는 소비자의 기억 속에 해당 제품을 인식시켜서 소비자가 대안을 선택하는 경우에 무의식적인 선택을 하게 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소비자는 친숙한제품일수록제품속성에의존하기보다는 그제 품과 관련하 이미형 성 되어있는 전반적인 평가를 기억하면서 대안을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감정 의존식 대안평가라고 한다.

 

어떤 대상에 대해 좋거나 나쁜 감정이 이미 되어있는, 제품 경험에 관한 장기기억이다.

 

상표들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고 적대 안을 선택하는데 고려한 대안들 중에서 수용 가능한 대안이 없는 경우의 결정을 포기하 기도하지만 추가적인 정보탐색을 해서 대안을 평가하 기도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