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네이버 데이터랩으로 파악하는 고객의 심리적인 맥락은?

간다간다 돈간다 2021. 2. 20. 20:07

사람의 심리적인 맥락(Context)을 파악하여 인지 맵을 작성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사회 학이나 문화인류학의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잠재 심리와 문화 등을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네이버 데이터랩을 통하여 의사 결정을 하는 데 기초가 되는 인지 맵의 틀이 됩니다. 현재는 이 인지 맵을 기반으로 소비자 행동을 예측하여 기업의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의 데이터 랩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설루션 개발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빅데이터 설루션 구현의 기본 방향은 활용되는 빅데이터의 영역에 적합하도록 분석 기능을 포함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빅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응용되어 야 할 영역이 다양하기 때문에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대표 설루션 개발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입니다. 대중적인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는 기업이나 개인이 빅데이 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자체 사이트에서 데이터 랩(Data Lab)을 구축하여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랩과 바이럴 마케팅

 

온라인 바이럴 마케팅을 하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이곳에 제공된 분선 결과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네이버 데이터 랩의 핵심은 이용자들이 다양한 민간 및 공공 데이터를 제공받아 자신이 보유한 데이터에 융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데이터 랩은 네이버 검색 데이터를 개인 이용자가 보유한 데이터와 융합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융합 분석 기능이 있습니다.

 

그밖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역별 특정 분야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지역 통계 기능과 현재 인기 검색어들의 기간별 트렌드를 파악 함수 있는 검색어로 알아보는 대한민국 정보 기능 등이 있습니다.

 

뮤 데이터 융합 분석 기능은 이용자의 데이터를 네이버 검색 데이터에 융합하여 분 석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새로운 사업 방향이나 아이디어를 모색하는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등의 사용자에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의류 쇼핑몰 관련 업체는 데 이터 랩의 테스트를 통해 특정 상품의 구매 기간을 예측하고, 재고 확보 및 온라인 판매의 적정 시기 등에 대한 주요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민간 기업의 정보와 공공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결합한 지역 통계 기능은 네이버의 지역 서비스에 등록된 업체와 해당 지역의 검색 사용자 수를 비교하여 업종별 분포도를 네이버 지도상에서 시각화하여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공공 기관이 제공하는 데이터가 네이버 지도에 융합된 서비스입니다. 예를 들어, 이용자들은 국토교통부 가 제공하는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과 연계하여 읍 면동 단위로 세분화된 아파 트 실제 매매가와 전월세 거래량 등을 지도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데이터랩 검색어 기능

검색어로 알아보는 대한민국 정보 기능은 2007년부터 현재까지 각 분야별로 라 이프 스타일에 따라 분류한 10여 년간의 인기 검색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합니다. 사용 자가 관심 있는 검색어에 대해 최소 3개월에서 최대 10년까지의 변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설정 기간 내 해당 검색어의 최대 검색량을 100으로 산출 한 상대적 수치 형태로 결과가 제공됩니다. 예를 들어, 현재 공연 분야의 인기 검색어에 오른 특정 뮤지컬의 최근 3개월 내의 검색량을 그래프로 보여 줍니다.

 

이 외에도 데이터 랩은 통계청, 공공 데이터 포털 등이 제공하는 13만 건 이상의 공공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데이터 랩은 포털 사이트 이용자를 기준으로 제공되는 정 보로서 소비자의 트렌드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제한이 있지만, 소비자 행동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